-
[스크랩] 프랑스요리food 2007. 11. 8. 14:54
프아그라 (Foie gras) - 거위간요리
푸아그라는 "Fat Liver"란 의미로서 프랑스 요리에서는
일반적으로 거위(Goose)나 오리(Duck)의 비대해진 간을 푸아그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양질의 단백질, 지질, 비타민A, E, 철, 구리, 코발트, 망간,인, 칼슘 등 빈혈이나 스태미너 증강에 필요한 성분이 풍부하며 캐비어와 송로버섯과 함께 세계 3대 진미 중의 하나로 꼽힙니다.
푸아그라 생산법은 약 3000년전의 고대 이집트 시대와 그리스, 로마시대로부터 내려왔다고 하네요.
하지만 생산방법이 너무 잔인해서 최근에는 푸아그라생산 반대여론도 생겼습니다.
푸아그라는 프랑스어로 '살찐 간(fat liver)'이라는 뜻이다. 프랑스 북동부의 알자스(Alsace)와 남부 페리고르(Perigord) 지방의 특산품이다. 가격이 매우 비싸 보통 오르되브르에 사용하거나 크리스마스 등의 명절에 먹는다. 지방 함량이 높아서 맛이 풍부하고 매우 부드럽다. 화이트와인의 일종인 소테른(Sauternes)과 맛이 잘 어울린다. 간을 그대로 굽기도 하고, 토스트 위에 얇게 바르거나 수프에 넣어서 먹는 등 다양한 요리법이 있다.
푸아그라는 거위나 오리를 4∼5개월 동안 운동을 시키지 않고 사료를 많이 먹여서 살이 찌도록 하여 간도 커지게 만든다. 이렇게 키워서 다 자란 거위의 간은 무게가 평균적으로 1.35kg이다. 오리보다는 거위의 간을 상품(上品)으로 취급한다. '파테 드 푸아그라'는 거위 간 80%에 돼지 간, 트뤼프, 달걀 등을 섞어 퓌레 형태로 만든 것을 말한다. '무스(퓌레) 드 푸아그라'는 거위 간 55% 이상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 가격대는 삼만원이 넘네요 ~
에스까르고(Escargot) - 달팽이요리
이건 홍대에서 파는건데,
달팽이가 너무 비싸서 골뱅이랑 섞어서 만든대요 < 그래서 이만원 ;
위에 사진에 보는 요리는 달팽이 개당 2000원 정도 ? ;;;; ( 현지에서 먹을때 )
프랑스 요리로 또한 잘 알려진 에스까르고(Escargot)는 일명 달팽이 요리이다. 독특한 향으로 식욕을 돋구는 이 요리는 프랑스식 전채요리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전채요리로 애용되지만 배낭여행객들에겐 맥주한잔과 함께 먹을 수 있는 술안주로도 좋다.
달팽이 요리는 프랑스의 어느 지방의 성주가 포도농사를 망치는 달팽이를 없애는 방법으로 식용으로 먹기 시작한 것에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에스카르고는 달팽이 자체의 단백함과 부드러움이 요리의 미각을 자극하며, 프랑스식 버터향의 소스와 더불어 고소하고 향긋한 맛을 강조한 프랑스식 정통요리 중의 하나이다.** 근데 중요한건 ;
거위간이고 달팽이고 모두 메인요리가 아니라 에피타이저라는 겁니다-_-
스튜
닭고기 스튜 - coq au vin 코코뱅 ( 프랑스의 대표적인 가정요리 )
닭고기와 야채에 포도주를 부어 조린 프랑스 전통 요리이다. 이름은 '포도주 안의 수탉'이라는 뜻이다. 프랑스 농가에서 즐겨먹던 요리에서 시작되었으며, 크리스마스에 빠지지 않는 음식이다.
코코뱅의 유래는 큰닭의 질긴 육질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하여 고안된 요리라는 설과 백성들의 가난한 생활을 본 왕이 일요일에 닭을 먹으라고 명령하여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와인의 풍미와 담백한 닭고기가 잘 어우러진 요리로, 포도주를 많이 생산하는 부르고뉴주에서 특히 발달하였다. 알자스주에서는 화이트와인을 사용한다.** 이건 2만원 후반 정도
http://myhome.hanafos.com/~bikadema/frame1.htm
여기 한번 들어가보세요 ;
프랑스 전문 요리점인데 ...
가격대 같은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출처 : 중소기업경영론 5조 ♡글쓴이 : 명길 :D 원글보기메모 :'fo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태리와 프랑스요리 (0) 2007.11.08 [스크랩] 프랑스요리 용어 (0) 2007.11.08 [스크랩] (영국 2) 레스토랑 문화 이렇게 다르더라 < 영국 vs 미국 > (0) 2007.11.05 [스크랩] (영국 5) Cafe & Pastry in London (0) 2007.11.05 [스크랩] Pastry in French (0) 2007.11.05